<앵커> 경남 합천과 산청에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Hit 2회 작성일Date 25-08-04 23:38본문
천안아이파크시티
<앵커> 경남 합천과 산청에도 밤사이 200mm에 가까운 많은 양의 비가 쏟아졌습니다. 이 지역은 불과 2주 전 극한 호우와 산사태로 큰 피해를 봤던 곳입니다. 임시로 쌓은 제방은 또다시 빗물에 쓸려 내려갔고, 복구 작업은 원점으로 돌아갔습니다. 김진우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시뻘건 흙탕물이 다리를 집어삼킬 듯한 기세로 흘러갑니다. 경남 합천군엔 어젯(3일)밤부터 212mm의 집중 폭우가 내렸습니다. 2주 전에도 200mm 넘는 비가 내려 마을 주민들이 배수로와 제방을 임시 복구했는데, 밤사이 쏟아진 폭우에 다시 사라져 버렸습니다. 어제 오후까지만 해도 이곳엔 반대편을 잇는 다리가 있었습니다. 지난번 폭우로 끊긴 다리를 임시로 복구했던 건데, 어젯밤 많은 비가 내리면서 또다시 유실됐습니다. [김홍제/경남 합천군 목곡마을 이장 : 4일 걸렸던 게 한순간에 다 떠내려가 버렸어. 저 근처에는 갈 길이 없습니다. 농사짓는 데인데 가지를 못해요.] 지난달 극한 호우와 산사태로 14명이 숨진 경남 산청군. 이곳에도 밤사이 176mm의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 원래 이곳에 있던 주택 2채는 산사태 때문에 흔적도 없이 사라졌고 지금은 이렇게 창고만 남아 있습니다. 이 창고엔 그나마 건진 살림살이를 보관해 놨는데 어젯밤 내린 비로 토사가 밀려 들어왔습니다. [A 씨/경남 산청군 : 한 나흘 동안 복구한 건데 다시 이렇게 흙이 쓸려와서 제가 너무 힘들어서 이거 퍼낼 생각이 없습니다. 힘들어서 못하겠습니다.] 토사가 쏟아지는 걸 막기 위해 산자락에 방수포를 깔아놓는 등 복구 작업에 공을 들였지만 어제 내린 비 때문에 좀처럼 속도가 나질 않습니다. [조기덕/경남 산청군 산림조합 : 무릎까지 푹 꺼진다든지 경사지에서 밑으로 미끄러진다든지 그런 부분(이 힘듭니다.) 어제 비가 많이 와서 (장비가) 투입이 안 됐고.] 산청군 주민 1천500여 명은 또다시 마을을 떠나 뜬눈으로 밤을 새워야 했습니다. [A 씨/경남 산청군 : 창문 보고 계속 '비가 더 오면 어떡하지' 그런 걱정을 하고 있었죠. 몇 번 깼다가, 일어났다가. 비가 더 많이 오면 2차 피해가 불 보듯 뻔한 일이니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4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기자실에서 출입기자단과 현안 관련 감담회에 참석하여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8.4/뉴스1 ⓒ News1 김기남 기자 (세종=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정책은 사실상 운하 파기 정책이었다. 22조원을 지천 홍수 보강에 썼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또 "윤석열 정부 시절, 재생에너지 확대가 3년간 멈추면서 한국이 뒤처졌다"며 당장 2030년 탄소감축계획(NDC) 달성과 2035년 계획 수립을 서두르겠다고 말했다.김 장관은 4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기자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4대강 재자연화 문제를 비롯해 임도 논란과 국립공원 케이블카 허가, 탄소감축 목표와 산업 경쟁력 등 주요 현안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그는 4대강과 관련해 "보가 홍수를 막았다는 건 정반대"라며 "홍수 이전에 물을 빼내 물그릇을 키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 세종보와 공주보 철거, 백제보 상시 개방, 영산강 승촌보·죽산보 개방이 약속됐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이미 합의된 사안인데 이를 뒤집은 게 문제"라고 말했다. 세종보 농성 시민과의 대화에서 개인 의견을 전제로 개방 필요성을 밝힌 발언이 논란이 된 데 대해서는 "장관으로서 절차는 존중하되, 개인적으로는 물은 흘러야 한다는 뜻을 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임도 발언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서도 "국무회의에서 일본, 독일, 오스트리아 사례를 참고하자는 조언했을 뿐"이라며 "한마디를 두고 전문성 부족이라 평가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반박했다. 그는 산림·기후 문제를 오래 고민해 온 만큼 필요하면 환경단체와 직접 상의하겠다고 덧붙였다.최근 경남 산청군 산사태를 둘러싼 국무회의에서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독일·오스트리아·일본처럼 간벌을 위해 임도가 필요하다"고 발언해 일어난 논란에 대한 설명이다.김 장관은 국립공원 케이블카 논란에 대해서는 "설악산과 지리산 케이블카는 이미 이전 정부에서 결정된 사안"이라며 "특혜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이후 여러 신청이 잇따르면서 남발 우려가 제기된
천안아이파크시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