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미 기자]남편은 '별 보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Hit 3회 작성일Date 25-08-03 14:01본문
웹사이트상위노출
[오순미 기자]남편은 '별 보기'에 특별한 관심을 가진 사람이다. 대학 시절 동아리 'HAM(아마추어 무선통신사)반' 여름 수련회 때 은하수를 본 이후부터다. 강원도 설악동 민박집 앞 너럭바위에 누웠다가 별이 쏟아질 것 같은 밤하늘을 우연히 목격하고선 그 풍경에 반한 것이다. 40여 년이 지난 지금도 그때 본 은하수가 선명하다며 "별 보러 가자"는 얘길 종종 한다.강원 영월의 '별마로 천문대'를 시작으로 경기 연천의 '당포성'과 '호로고루성'에도 다녀왔지만 또다시 별 보기를 꺼내든 그. 강릉 '안반데기'와 춘천 '건봉령 승호대'로 지난 24일 떠났다. 더운 여름에는 여행하지 않는다는 철칙을 뒤로하고 이틀을 강릉과 춘천에서 머물렀다.숨은 별 맛집, 건봉령 승호대 안반데기는 알려질 대로 알려진 곳이라 관광지다웠다. 사람도 많고, 그 꼭대기에 화장실까지 마련돼 있었다. 차박 자동차들이 주차장을 모두 차지한 걸 보며 인기 있는 장소란 걸 실감했다. 여러 기의 풍력 발전기에서 깜박이는 항공 안전 점멸등 빛이 밝다며 남편은 안반데기가 성에 차지 않는 모양이었다. 그래도 별 가득한 하늘은 도시와 다른 여름 밤을 연출했고 남편은 연신 휴대폰 카메라를 눌렀다. 무엇보다 서늘한 밤 공기가 더위로 시들한 심지에 생기를 돋워 상쾌했다. ▲ 건봉령 승호대에서 바라본 소양호ⓒ 오순미 이번 별 보기에선 춘천 '건봉령 승호대'가 오랫동안 지워지지 않을 기억으로 남았다. 청평사 주차장 뒤편 부귀로 굽잇길 따라 8~10km 정도 올라가야 나오는 곳이다. 길이 맞는지 의문이 들 만큼 가로등도 자동차도 인적도 없는 길이다. 청평사 아래서 식사하며 식당 주인에게 물어보지 않았더라면 오르다 말고 돌아서 나올 만큼 한적하다 못해 적막이 가득했다. 햇빛도 드문드문 들이쳐 긴장하며 운전해야만 갈 수 있는 장소다. 도착인가 싶은 곳 구석 자리에 두 대 정도 주차할 만한 공간이 있었지만 이미 만차였다. 우측으로 조금 더 내려가니 갓길에 다른 차량 한 대가 주차되어 있어 우리도 그 앞에 차를 대고 내렸다. 차량통행이 드문 곳이라 갓길 주차가 인정되는 듯했다. 우리 뿐인 줄 알았는데 먼저 온 이들이 보여 안심이었다.'길이 녹록지 않던데 어떻게 오셨냐'고 먼저 온 분에게 물으니 춘천에서 살아서 자주 오는 곳이라고 대답했다. 모녀 사이인 두 분은 오히려 내게 이 길을 어떻게 [의령=뉴시스] 차용현 기자 = 호우경보가 내려진 지난달 19일 오후 경남 의령군 대의면 신점마을 신정교 인근 제방이 무너져 하천수가 범람하고 있다. 2025.07.19.con@newsis.com [서울=뉴시스]정예빈 기자 =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 홍수가 대부분 지방하천에서 발생하면서 지방하천 제방 정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일 국회예산정책처(예정처)가 발간한 '기후위기 적응대책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간 홍수 피해가 발생한 하천 중 93.6%(연평균 669개소)는 지방하천이었다. 국가하천은 6.4%(연평균 46개소)에 불과했다. 매년 지방하천에 홍수 피해가 집중됨에도 제방 정비율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2019년 48.07% 수준이었던 정비율은 2023년 48.78%에 머물며 개선이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는 2023년 말 기준 국가하천 73개소 평균 제방 정비율인 78.8%에 한참 못 미친다.하천은 하천법에 따라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구분된다. 국가하천은 국토 보전이나 국민 경제에 중요한 하천으로, 환경부 장관이 관리한다. 지방하천은 지방의 공공 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하천으로 광역시장, 시장, 도지사 등이 관리하고 있다.예정처는 지방하천 정비율이 낮은 이유로 중앙정부의 지방자치단체 예산 지원 감소와 지방하천 관련 사업이 지방정부로 이양된 것을 꼽았다. 국토교통부의 '지방하천정비 사업', 행정안전부의 '소하천정비 사업', 환경부의 '생태하천복원 사업'은 모두 2020년부터 국고보조사업에서 지자체 일반사업으로 전환됐다.예정처는 "2014년 이후 지자체 지원 보조율이 감소하고 여기에 더해 2020년 지방하천 관련 사업의 지방정부 이양으로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사업비를 편성하게 되면서 지방하천 정비 등의 투자에 소홀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고 분석했다.지방하천이 지방으로 이양된 이후 정부는 일정 기준에 따라 사업비 일부를 지자체에 보전해주고 있다. 다만 예정처는 "지자체의 지속적인
웹사이트상위노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