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관' 신설은 가능할 듯…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Hit 6회 작성일Date 25-08-01 16:12본문
내구제
'제2차관' 신설은 가능할 듯…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 등 거론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지난달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미 관세협상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김범준 기자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해양플랜트 분야 업무의 해양수산부 이관이 어려워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도한 ‘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가 이번 협상의 ‘일등 공신’으로 꼽히면서다. 프로젝트가 곧바로 추진되는 상황에서 소관 부처를 이관하긴 부담스럽다는 분석이다. MASGA 덕에 협상 타결...업무 이관 부담1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한국과 미국은 관세 협상을 전격 타결했다. 미국은 상호관세와 자동차 품목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한국은 1000억달러(약 139조원)어치의 에너지를 구매하는 동시에 3500억달러(약 486조원) 규모의 대미(對美) 투자 펀드를 조성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이 ‘대미 투자 펀드’ 중 1500억달러는 MASGA 프로젝트와 국내 기업의 미국 조선업 진출을 돕는 조선업 협력 펀드다. 대통령실과 정부는 MASGA 프로젝트가 이번 극적인 협상 타결을 이끌었다고 자평하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협상을 마친 이후 관련 브리핑에서 “오늘 합의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MASGA 프로젝트”라고 강조했다.산업부가 이끈 한미 통상협상에서 산업부가 주로 담당하는 조선업이 핵심 카드로 역할 하면서 해수부로의 조선·해양플랜트 업무 이관도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전재수 신임 해수부 장관은 해수부 부산 이전과 함께 부처의 위상 강화를 위해 산업부가 맡은 해당 업무를 가져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지난달 24일 취임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조선·해양플랜트 업무를 가져오면 시너지 효과가 더 커질 것”이라며 “산업부에선 1개 과에서 10명이 일하는데, 해수부에 오면 같은 10명에 1000배, 1만 배 실적을 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전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업무 이관 필요성을 어필하겠다고도 약속했다. 그러나 정부 관계자는 “이런 상황에선 해양플랜트 업무 소관 부처를 굳이 바꾸기가 좀 부담스러울 것”이라며 “미국과의 관세 문제는 협상 결과뿐만 아니라 그 이행도 무척 예민한 문제인데, 정부 조직 개편을 논의하는 분들이 이 부분을 쉽게 건드리긴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업무 이'제2차관' 신설은 가능할 듯…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 등 거론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지난달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미 관세협상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김범준 기자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해양플랜트 분야 업무의 해양수산부 이관이 어려워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도한 ‘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가 이번 협상의 ‘일등 공신’으로 꼽히면서다. 프로젝트가 곧바로 추진되는 상황에서 소관 부처를 이관하긴 부담스럽다는 분석이다. MASGA 덕에 협상 타결...업무 이관 부담1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한국과 미국은 관세 협상을 전격 타결했다. 미국은 상호관세와 자동차 품목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한국은 1000억달러(약 139조원)어치의 에너지를 구매하는 동시에 3500억달러(약 486조원) 규모의 대미(對美) 투자 펀드를 조성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이 ‘대미 투자 펀드’ 중 1500억달러는 MASGA 프로젝트와 국내 기업의 미국 조선업 진출을 돕는 조선업 협력 펀드다. 대통령실과 정부는 MASGA 프로젝트가 이번 극적인 협상 타결을 이끌었다고 자평하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협상을 마친 이후 관련 브리핑에서 “오늘 합의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MASGA 프로젝트”라고 강조했다.산업부가 이끈 한미 통상협상에서 산업부가 주로 담당하는 조선업이 핵심 카드로 역할 하면서 해수부로의 조선·해양플랜트 업무 이관도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전재수 신임 해수부 장관은 해수부 부산 이전과 함께 부처의 위상 강화를 위해 산업부가 맡은 해당 업무를 가져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지난달 24일 취임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조선·해양플랜트 업무를 가져오면 시너지 효과가 더 커질 것”이라며 “산업부에선 1개 과에서 10명이 일하는데, 해수부에 오면 같은 10명에 1000배, 1만 배 실적을 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전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업무 이관 필요성을
내구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